오늘은 공무원 급수와 계급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일반적인 기업에서 불려지는 호칭은 다음과 같다.
처음에 입사하게 되면 대리부터 시작해서
과장 차장 부장 순으로 올라간다.
그렇다면 공무원은 어떻게 될까?
계급과 호칭부터가 어색하다
신규 임용이 되면 9급부터 시작해서
8급 7급 6급으로 올라가는 것은 알겠는데
공무원 급수에 따른
서기관 주사 주무관 사무관 등의 호칭은
도대체 어떤 급수인 것일까?
공무원 체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선 공무원 급수는 9단계로 나누어진다.
1급이 가장 높은 급수이며
아시다시피 9급이 가장 말단이다.
9급에서 6급 공무원까지는
어떤 부서이서든 실무를 담당하게 된다.
9급 - 서기보
8급 - 서기
7급 - 주사보
6급 - 주사
이렇게 호칭이 나누어지며
6급까지의 공무원은 대부분의 부서에서
주무관이라는 계급으로 통일되어 부르기도 한다.
국어사전에 주무관을 검색해보니
어떠한 사무를 주장하여 맡아보는 관리직이라고 나오는데
행정부서에서 9급에서 6급까지가 해당된다.
공무원 신규로 임용하게 되면
9급으로 시작하는데 8급까지는
민원대 업무 실질적이고 반복적인 행정 업무를 도맡아한다.
7급 그리고 6급은 어떠한 상황에 대한
중요한 결정 혹은 검토 회의 심의 등을 수행한다.
신체적으로는 8급과 9급이 힘들지만
정신적으로는 6급 7급이 힘들다는 말을 종종하더라
6급 이하까지는 주무관이는 호칭과 계급으로
주로 부르지만 기관마다 호칭이 달라지며
주임 주무관 주사 등도 해당이 된다.
그러면 우리가 아는 사무관은 몇급일까?
5급이 사무관이다
공무원의 꽃이라고 불려진다.
행시 즉 행정고시에 합격하면 5급으로 시작되며
중앙행정기관에서 일을 시작한다
사무관 행시로 임용되며 자신의 능력의 발휘에 따라서
고위직 공무원까지의 승진이 가능하다.
서기관은 4급이다
과장이며 과를 총괄하며
중요한 업무를 책임지는 계급이다
서기관은 상당히 높은 직급이라 생각된다
지금까지 사무관 주무관 주사 주무관 등의
공무원 급수와 계급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헷갈리 수도 있는 부분이지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기상청 공무원 기상직 직급표 예보관 특보관 직급 (0) | 2022.03.30 |
---|---|
경찰 공무원 계급 소방 공무원 계급표 계급장 공무원 급수 비교 (0) | 2022.03.30 |
2022년 군인 월급 연봉 상사 중사 하사 부사관 계급 호봉 실수령액 급여 (0) | 2022.03.25 |
대한민국 우리나라 국가 의전 서열 순위 정리 (0) | 2022.03.25 |
미군 장교 월급 연봉 소위 중위 대위 소령 중령 대령 (0) | 2022.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