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나이가 점점 들어가면서
주변에서 결혼을 준비하고 실제로 하는 친구들이 늘어가는데요.
사실 사회생활을 하고 직장을 다니면서 가장 걱정되는 부분이
바로 경조사 때마다 도대체 어디까지
챙겨야하며 그리고 금액 기준을 얼마로 해야하는지
봉투에 이름이나 받는 사람을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에 대해서 헷갈립니다.
누군가 이런 부분을 명확하게 정의해주면 좋겠지만
축하하는 부분에 있어서 그리고 내가 얼마나 가까운 사람인지에 대해서
정해진 액수가 없어서 항상 어려운데요.
너무 적게 내기도 그렇다고 너무 많이 내기도
부담스러운 그런 문화 없어지면 좋겠네요.
오늘은 결혼식 축의금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얼마를 넣어야하고 봉투에 이름과 받는 사람은 어떻게 쓰는걸까요?
결혼식 축의금 기준
결론을 말씀드리면 명확한 기준은 없습니다.
결혼식을 하는 당사자와의 친분이 중요한데요.
그에 따라서 축의금 기준이 달라집니다.
1. 친밀도가 적은 경우
진짜로 친한 경우 혹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친밀도가 그렇게 높지 않다면
평균적으로 5만원 혹은 10만원을 축의금 기준으로 합니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평균적으로 5만원을 주로 합니다.
2. 친한 동창, 친구, 지인
진짜 친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오랜 기간 함께하면서
서로의 경조사를 챙기면서 돈독한 사이를 의미하는데요.
이런 경우에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정말 친하다면
적게는 20만원부터 많게는 100만원까지 축의금 기준을 잡고 있습니다.
사실 이렇게 친한 친구들 같은 경우에는 서로 축의금을
모으기도 하고 목돈 형식으로 한꺼번에 내기도 하며
가전제품을 사는데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3. 가족
가족 같은 경우에는 가까운 친척이라고 한다면
20만원 이상으로 축의금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받은만큼 내고 낸 만큼 받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4. 직장 동료
이 부분이 가장 애매합니다. 직장을 다니시는분들은 공감하실 것 같은데요.
그냥 적당히 친한 친분이라면 5만원 정도
정말 친밀하고 가깝게 지내는 사이라면 최대 10만원정도가 적당합니다.
축의금 봉투 이름 받는 사람
우선 축의금 봉투 앞면은 위 사진처럼
축하문구가 중앙에 세로로 위치합니다.
보통 한자로 많이 적었지만 요즘에는 한글로도 작성하기도 합니다.
축의금을 받는분의 연령대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봉투에 이름 받는 사람 같은 경우에는
뒷면에 작성하며 이름과 소속 상대방과의 관계를 적으시면 됩니다.
왼쪽 하단에 세로로 작성합니다.
사실 축의금 봉투의 앞면은 이미 기재된 봉투가 많이 팔지만
뒷면은 대부분 작성되지 않기 때문에 직접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결혼식 축의금 기준과
얼마를 넣어야하는지 그리고 봉투 받는 사람
이름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기를!
미군 장교 월급 연봉 소위 중위 대위 소령 중령 대령 (0) | 2022.03.25 |
---|---|
운전경력증명서 민원24 인터넷 발급 내용 어디서 무인발급기 동사무소 (0) | 2022.01.27 |
2022년 군인 월급 연봉 대위 중위 소위 장교 계급 호봉 실수령액 급여 (0) | 2022.01.25 |
밀접접촉자 기준 자가격리 기간 지원금 가족 음성 (0) | 2022.01.07 |
사적모임 기준 인원제한 운영시간 제한 거리두기 (0) | 202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