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자유 Cashflow입니다.
오늘도 많은 분들이 필요로 하실 것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보려고 하는데요.
혹시 주변에 공무원을 직업으로 가지신 분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저희 아버지께서 지방직 공무원으로
거의 30년 가까이 근무를 하셨고 지금 현재 5급으로 일하고 계신대요.
지금은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지만
예전 같은 경우에는 술자리 회식 때문에 정말 힘들어하는 그런 시기가 있었습니다.
제가 어렸을 때이기 때문에 20년 전인 것 같은데요.
그 때 저희 아버지께서 하신말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아무리 국가의 봉급을 받는 공무원이라도 할지라도
어쨋든 시기에 맞춰서 진급 승진이라는 것을 꼭 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후배에게도 미안하고 내 자신에게도 용납이 안된다.
근데 승진을 위해서 이렇게 회식자리 참석하는 것이
많이 힘들구나~
사실 그 때 당시에는 맛있는 음식을 먹는 자리인데
뭐가 그렇게 힘드실까 생각을 했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다르더라구요.
정말 힘드셨겠구나라는 생각을 계속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어쨋든 공무원 같은 경우에는 솔직히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자신의 업무 능력도 물론 중요하지만 아주 많은 운이 작용하낟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신의 특기 직렬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겠지만 자신의 위 선배들을
보았을때 고참들이 많으면 그만큼 진급 승진에 있어서 정체되는 부분이 있겠죠.
정규승진을 하지 못하는 인원들은 오늘 소개해드릴 근속승진을 노릴 수 밖에 없습니다.
자신의 위의 고참들이 적다면 정규승진을 할 수도 있겠죠.
공무원이 정말 안정적인 직업이라는 것은 이 부부에서도 어느정도 근거가 있습니다.
9급에서 6급까지 승진하는 경우에는 근속승진이 있더라구요.
하지만 5급 공무원 심사부터는 근속승진이 아닌 다른 요소들이 반영된다고 합니다.
사실 근무를 하면서 어떤 사건사고 대민마찰 음주 폭행 이런 일들에
휘말리지만 않는다고 하면 정규로 승진이나 진급은 하지 못해도
거의 근속승진 진급은 100%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9급 공무원 같은 경우에는 5년 6개월 이상 근무
8급 공무원은 7년 이상 근무
7급 공무원은 11년 이상 근무
위 근무연수를 채운다면 근속승진 대상자가 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9급 합격하여 20년 1월에 임용을 받았다고 한다면
25년 7월 5년 6개월이 지나가게 된다면 근속으로 승진할 대상자가 되는 것이죠.
그렇다면 그동안 근무하는 동안 어떠한 사건사고가 없었다고 한다면 자연스럽게 8급으로 승진이 가능한 것입니다.
8급에서는 7년을 근무해야하고 7급에서 11년 이상을 근무한다면
자연스럽게 7급 6급으로 승진하게 되는 것입니다.
근데 6급 공무원 근속승진부터는 조금 다른 부분의 요소가 추가 됩니다.
11년 이상 재직자 중에서 매년 1회 성과 우수자를 선별하는 과정이 있는데
모두가 아닌 상위 30% 정도를 진급시켜준다고 합니다.
아무리 노후가 보장된 직업이라고 한들 어느정도 자신의 업무에 대한
성과가 이루어진 사람들에게 승진의 기회를 주겠다는 것이죠.
사실 외부기업보다는 이런 부분에 있어서 조금은 완화된 부분이 있지만
승진 자체가 주는 압박감은 동일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공무원 승진을 위한 최저연수는 어떻게 될까요?
9급 공무원은 1년 6개월 이상
8급과 7급은 2년 이상
6급 공무원은 3년 6개월 이상
5급은 4년 이상
4급은 3년이상입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사실 최저연수는 말그대로 최저근무기간인 것이고 실질적으로 주변 공무원으로 근무하는 분들에게
물어보면 바로 다이렉트로 진급이나 승진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국가의 봉급을 받는 직업인만큼 어떠한 큰 공을 세우거나 정말 운이 좋은 경우가 아니라면
힘든 부분이 크죠. 사실 승진이라는 의미보다는 정년까지 안정적으로 직업생활을 하면서
봉급을 받을 수 있고 연금까지 보장되는 직업이기 때문에 정말 메리트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공무원 근속승진 9급 8급 7급 6급 진급 최저연수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의사 인턴 펠로우 레지던트 기간 전공의 전문의 스텝 과정 총정리! (0) | 2020.05.10 |
---|---|
2020년 군대 월급 육군 해군 공군 군인 병사 해병대 이병 일병 상병 병장 복무기간 (0) | 2020.05.09 |
공무원 정근수당 가산금 가족수당 지급기준 1월 7월 지급일 (0) | 2020.05.07 |
사회적 거리두기 군인 출타제한 언제쯤 풀릴까? (0) | 2020.04.04 |
파이어족 억대 연봉 직장인이 회사에서 사는 이유 (0) | 2020.03.31 |